경제학2 실증경제학과 규범경제학 이제 우리는 경제학이 '사람들의 선택'과 관련된 학문임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사람들의 선택을 굳이 공부할 필요가 있을까? 경제학자들이 그저 호기심이 왕성한 족속이라 그렇다고 답변을 할 수도 있으리라. 하지만 호기심은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사람들의 선택을 이해하는 것은 두 가지 이유에서 실질적으로도 매우 유용하다. 경제학적 분석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사람들이 실제로 하는 행동을 기술한다.(실증경제학). 2. 사람들이 사회가 어떻게 행동해야만 하는지 조언한다.(규범경제학). 경제학적 분석을 통해 우리는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선택하고 행동하는지를 묘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조언할 수 있는 것이다. 실증경제학은 사람들이 실제로 하는 행동.. 2022. 1. 6. 경제학의 범위 경제학은 단순히 돈에만 관심을 갖는 학문이 아니다. 경제학자들은 인간의 모든 행동을 연구한다. 새로운 스포츠카를 리스할 것인지부터, 급격히 꺾인 코너를 얼마나 빠른 속도로 운전할 것인지나 안전벨트를 멜 것인지에 이르기까지 개인이 내리는 모든 결정에 관심을 둔다. 이런 행동은 모두 의사결정인 셈이므로 경제학자들에게는 연구 대상에 해당된다. 돈이 아니라 선택(choice)이야말로 경제학자들이 연구하는 모든 주제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특성이다. 사실 경제학자들은 인간의 거의 모든 행동을 선택의 결과로 여긴다. 아빠가 10대인 딸에게 세차를 해야 한다고 말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보자. 딸에게는 여러 가지 선택사항이 있다. 시킨 대로 세차를 할 수도 있고, 더 쉬운 심부름을 하겠다고 협상을 할 수도 있으며, 세차를.. 2022. 1. 6. 이전 1 다음 반응형